약물학_총론

신호전달기전과 약물작용

helena-mis 2025. 1. 14. 22:21

수용체와 신호전달 개요

수용체는 세포가 외부 신호를 감지하고 반응을 유도하는 주요 단백질입니다. 이들은 주로 세포막 표면에 위치하거나 세포 내부에 존재하며, 약물과 결합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신호전달은 이러한 수용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약물은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발휘합니다.

신호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주요 메커니즘은 5가지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메커니즘은 특정한 수용체 유형과 관련이 있으며, 약물의 작용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지질용해도와 세포질 내 수용체

지질용해도가 큰 물질은 세포막을 자유롭게 통과하여 세포질 내부의 수용체와 결합합니다. 이 과정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같은 지용성 약물에서 흔히 관찰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수용체와 결합한 후, 핵으로 이동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코르티솔은 세포질 내 수용체와 결합하여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킵니다.

 

2) 막통과수용체와 효소활성 조절

일부 약물은 수용체의 세포막 바깥쪽 도메인(domain)에 결합하여, 세포 안쪽 도메인의 효소 활성을 알로스테릭(allosteric) 방식으로 조절합니다. 이는 세포 내 효소 활성화나 억제를 통해 생리적 반응을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인슐린은 막통과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내 효소를 활성화시키고, 포도당 흡수를 촉진합니다.

 

3) Tyrosine Kinase와 막통과수용체

약물이 수용체의 외부 도메인에 결합하면, 내부 도메인이 tyrosine kinase와 결합하여 이를 활성화합니다. 활성화된 tyrosine kinase는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를 자극하여 세포 증식, 분화, 또는 생존을 조절합니다.

항암제인 이마티닙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tyrosine kinase를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차단합니다.

 

4) Ligand-Gated Ion Channel

Ligand-gated ion channel은 약물이 결합하면 이온 통로를 열거나 닫는 수용체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이온(예: Na+, K+, Ca2+)이 세포 내외로 이동하며 신호를 전달합니다.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은 GABA 수용체에 결합하여 Cl- 채널을 열어 신경 억제를 강화합니다.

 

5) G-Protein-Linked 수용체와 2차 전달자

G-Protein-Linked 수용체는 약물이 결합하면 세포 내 G-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이로 인해 2차 전달자(second messenger)의 농도를 변화시킵니다. 2차 전달자는 세포 내 신호를 증폭시켜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유발합니다.

아드레날린은 β-아드레날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cAMP를 증가시키고, 심박수를 증가시킵니다.


신호전달기전과 약물작용
[출처] https://www.nature.com/articles/s12276-024-01358-0

 

신호전달과 약물작용의 응용

약물의 신호전달 기전을 이해하면, 특정 질환을 치료하거나 부작용을 줄이는 새로운 약물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 치료제는 G-Protein-Linked 수용체를 차단하여 혈압을 낮춥니다. 반면, 항암제는 비정상적인 tyrosine kinase 활성을 억제합니다.

 

신호전달 기전과 약물작용은 현대 약리학의 핵심 개념으로, 약물이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약물의 작용 원리를 이해하고,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학의 발전은 질병 치료와 환자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