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학 6

약물-수용체 상호작용(Drug-Receptor Interaction)

약물의 효과는 약물이 생체 내 특정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약물-수용체 상호작용은 약물약학(pharmacodynamics)의 중심 개념으로, 약물이 세포 수준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약물과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친화력, 효능제와 길항제, 용량반응곡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친화력(Affinity)친화력은 약물이 수용체에 결합하려는 경향 또는 강도를 의미합니다. 약물의 친화력은 약물이 수용체에 얼마나 잘 결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며, 이는 약물의 효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주요 개념:결합 친화력(Kd): Kd 값은 약물이 수용체의 50%와 결합하는 데 필요한 약물 농도를 나타냅니다. Kd 값이 낮을수록 약물의 친화력이 높다는 ..

2차 신호전달자(Second messengers)

2차 신호전달자(Second Messengers): 생체 신호 전달의 중심생체 내에서 세포 간 신호 전달은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2차 신호전달자(second messengers)'입니다. 2차 신호전달자는 세포 외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하여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유도하는 작은 분자입니다. 이 글에서는 2차 신호전달자의 주요 유형과 그 역할을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쉽게 살펴보겠습니다. 1. cAMP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cAMP는 가장 잘 알려진 2차 신호전달자 중 하나로, 세포 내 다양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분자는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

약물학_총론 2025.01.14

신호전달기전과 약물작용

수용체와 신호전달 개요수용체는 세포가 외부 신호를 감지하고 반응을 유도하는 주요 단백질입니다. 이들은 주로 세포막 표면에 위치하거나 세포 내부에 존재하며, 약물과 결합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신호전달은 이러한 수용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약물은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발휘합니다.신호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주요 메커니즘은 5가지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메커니즘은 특정한 수용체 유형과 관련이 있으며, 약물의 작용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지질용해도와 세포질 내 수용체지질용해도가 큰 물질은 세포막을 자유롭게 통과하여 세포질 내부의 수용체와 결합합니다. 이 과정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같은 지용성 약물에서 흔히 관찰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수용체와 결합한 후, 핵으로 이동하여 특정..

약물학_총론 2025.01.14

약물의 특성

작용 메커니즘과 생체 내 상호작용약물(drug)이란 화학적 작용을 통해 생체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물질로, 질병의 치료, 예방, 진단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약물은 생체 내에서 특정 수용체(receptor)와 결합하여 작용을 나타내며, 이 과정은 약물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본 글에서는 약물의 주요 특성을 분자적 관점에서 상세히 살펴보고, 약물과 생체 간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1. 약물의 물리적 특성약물은 물리적 상태에 따라 고체, 액체, 기체로 존재하며, 이 특성은 약물의 투여 경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고체 약물: 대부분의 경구용 약물(예: 아스피린, 아트로핀)은 고체 상태로 제조되며, 정제나 캡슐 형태로 제공된다.액체 약물: 니코틴, 에탄올과 같은 액체 약물은 경구, 피부 ..

약물학_총론 2025.01.13

약물학의 분류

약물학(Pharmacology)은 약물이 생체에 미치는 작용과 이를 임상적으로 응용하여 질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체계화하는 학문이다. 약물학은 약물의 작용 원리, 약물과 생체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임상 적용을 연구하는 광범위한 학문으로, 연구 목적과 응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세부 분야로 나뉜다. 아래에서는 약물학의 주요 분류와 각 분야의 특징을 살펴본다.  1. 실험약물학 (Experimental Pharmacology)실험약물학은 약물이 생체에 적용되었을 때 어떤 작용을 일으키는지, 그 작용 양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주로 동물의 조직, 장기, 생체 등을 대상으로 약물의 일반적이거나 특정한 작용을 탐구하며, 기초 과학적 연구에 중점을 둔다.연구 대상: 동물 실험, 세포 배..

약물학_총론 2025.01.13

약물학의 개념

| 약물학(Pharmacology)의 기원과 정의약물학(pharmacology)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약물"을 뜻하는 pharmacon과 "학문"을 의미하는 logos가 결합된 단어이다. 약물학이라는 용어는 독일의 약리학자 슈미드베르크(Otto Schmiedberg, 1838~1921)가 처음 pharmakologie로 표현하며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라틴어 materia medica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의약 물질에 관한 학문"을 의미한다.약물학은 약물의 기원, 화학적·물리적 성질, 생체 내 작용 및 기전, 흡수(absorption), 분포(distribution), 대사(metabolism), 배설(excretion), 독성, 용법, 용량 등 다양한 요소를 다각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약물학_총론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