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4 4

약물-수용체 상호작용(Drug-Receptor Interaction)

약물의 효과는 약물이 생체 내 특정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약물-수용체 상호작용은 약물약학(pharmacodynamics)의 중심 개념으로, 약물이 세포 수준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약물과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친화력, 효능제와 길항제, 용량반응곡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친화력(Affinity)친화력은 약물이 수용체에 결합하려는 경향 또는 강도를 의미합니다. 약물의 친화력은 약물이 수용체에 얼마나 잘 결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며, 이는 약물의 효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주요 개념:결합 친화력(Kd): Kd 값은 약물이 수용체의 50%와 결합하는 데 필요한 약물 농도를 나타냅니다. Kd 값이 낮을수록 약물의 친화력이 높다는 ..

2차 신호전달자(Second messengers)

2차 신호전달자(Second Messengers): 생체 신호 전달의 중심생체 내에서 세포 간 신호 전달은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2차 신호전달자(second messengers)'입니다. 2차 신호전달자는 세포 외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하여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유도하는 작은 분자입니다. 이 글에서는 2차 신호전달자의 주요 유형과 그 역할을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쉽게 살펴보겠습니다. 1. cAMP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cAMP는 가장 잘 알려진 2차 신호전달자 중 하나로, 세포 내 다양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분자는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

약물학_총론 2025.01.14

신호전달기전과 약물작용

수용체와 신호전달 개요수용체는 세포가 외부 신호를 감지하고 반응을 유도하는 주요 단백질입니다. 이들은 주로 세포막 표면에 위치하거나 세포 내부에 존재하며, 약물과 결합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신호전달은 이러한 수용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약물은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발휘합니다.신호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주요 메커니즘은 5가지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메커니즘은 특정한 수용체 유형과 관련이 있으며, 약물의 작용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지질용해도와 세포질 내 수용체지질용해도가 큰 물질은 세포막을 자유롭게 통과하여 세포질 내부의 수용체와 결합합니다. 이 과정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같은 지용성 약물에서 흔히 관찰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수용체와 결합한 후, 핵으로 이동하여 특정..

약물학_총론 2025.01.14

수용체의 개념

약리학에서의 핵심 역할약물의 치료효과 및 독성은 약물과 인체 내 분자들과의 상호작용에 기인한다. 대부분의 약물은 생체 내 특정 거대분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거대분자의 생화학적 또는 생물리학적 활성을 바꾸는 방식으로 작용하며, 이렇게 약물과 상호작용하거나 약무료과를 나타나게 하는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을 시작하게 하는 세포나 생체의 구성분자를 수용체(receptor)라는 개념으로 표현한다. 수용체(Receptor)는 약물이 생체 내에서 작용을 발휘하는 주요 매개체로, 약물의 효능과 선택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용체는 약물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고 약리학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며, 새로운 약물 개발의 토대를 제공하는 핵심 개념이다. 본 글에서는 수용체의 기본 정의, 주요 기능, 그리고 약리..

약물학_총론 2025.01.14